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 정보 요정/취업 정보

주휴수당이 시급에 포함되어 있을 때, 확인해야 하는 것

by 정보요정 똥글2 2024. 9. 9.

 

주휴수당이 시급에 포함된 경우에는 이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적정하게 지급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을 검토하고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근로계약서 확인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근로계약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근로계약서에 “주휴수당 포함” 또는 “포괄임금제”라는 문구가 명시되어 있는지 살펴봅니다.

고용주가 주휴수당을 시급에 포함해 지급할 경우 이를 계약서에 명시해야 합니다.

만약 계약서에 이 내용이 없다면, 주휴수당이 시급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주장할 근거가 됩니다.


2. 기본 시급과 주휴수당 포함 시급 비교

기본 시급과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의 차이를 통해 적정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주어지는 유급휴일 수당으로, 일주일에 1일분의 임금을 추가로 받게 됩니다.

 

2-1. 기본 시급 확인: 주휴수당이 포함되지 않은 기본 시급을 먼저 확인합니다.

2-2. 주휴수당 계산: 주휴수당은 일주일에 1일 추가로 지급되는 임금이므로,

기본 시급에서 주휴수당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예시 : 

  •  기본 시급이 10,000원이고, 주 40시간 근무한다고 가정합니다.
  • 주휴수당은 1일의 임금을 추가로 받는 개념이므로, 하루 근무시간을 8시간으로 설정하면 주휴수당 = 8시간 × 10,000원 = 80,000원입니다.
  • 주휴수당이 포함된 경우, 주급은 **40시간의 근로 시간 + 주휴수당(8시간)**이 됩니다. 즉, 총 48시간분의 임금이 주급으로 계산되어야 하며, 이는 10,000원 × 48시간 = 480,000원입니다.

 

2-3. 주휴수당 포함 시급 계산: 이를 바탕으로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포함 시급 = 주급 ÷ 실제근로시간

 

위 예시에서 실제 근로시간은 40시간이므로,

480,000원 ÷ 40시간 = 12,000원

 

따라서,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은 12,000원이 됩니다.

 

2-4. 포함된 시급과 기본 시급 비교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이 기본 시급보다 12.5% 정도 높아야 정상입니다.

이 비율은 주 5일 근무, 8시간 근로 기준으로 주휴수당이 하루 추가되기 때문입니다.


3. 급여 명세서 확인

매월 받는 급여 명세서를 통해 주휴수당이 따로 지급되었는지,

아니면 시급에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세서에서 주휴수당이 별도로 표기되지 않고 시급만 계산된 경우라면,

해당 시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4. 주휴수당 포함 여부 계산 예시

  • 기본 시급: 10,000원
  • 주 근무 시간: 40시간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 주휴수당: 하루 8시간분의 임금 (10,000원 × 8시간 = 80,000원)
  • 주급: 40시간의 근로 시간(40시간 × 10,000원 = 400,000원) + 주휴수당(80,000원) = 480,000원
  • 주휴수당 포함 시급: 480,000원 ÷ 40시간 = 12,000원

따라서,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은 기본 시급인 10,000원보다 12,000원이 되어야 합니다.

이 계산을 통해 주휴수당이 시급에 정확하게 반영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주의 사항

고용주가 주휴수당을 시급에 포함해 계산할 때는 반드시 근로자와 협의하여 계약서에 명시해야 하며,

이 방식이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주휴수당이 시급에 포함되어 있다고 하면서도 실제로는 이를 반영하지 않고 시급을 낮게 책정했다면,

이는 법적으로 문제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